728x90

Logstash 다운로드
- download page link : https://www.elastic.co/kr/downloads/past-releases/logstash-7-15-0
프로젝트 루트로 이동해서 tar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.
지금은 ES를 standalone으로도 구성해보고, 뒤에서 cluster로도 구성해볼겠습니다
cd {YOUR_PROJECT_ROOT}/logstash
wget https://artifacts.elastic.co/downloads/logstash/logstash-7.15.0-darwin-x86_64.tar.gz
압축을 해제합니다
tar -xvf logstash-7.15.0-darwin-x86_64.tar.gz
Logstash 실행 : stdin/stdout
가장 기본적으로 Logstash를 시작하려면 아래와 같이 실행할 수 있습니다. stdin으로 입력을 받아서 stdout으로 출력합니다.
bin/logstash -e 'input { stdin { } } output { stdout {} }'
실행한 뒤 ENTER, "hello" 등을 쳐보면 그대로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
Logstash 실행 : ES의 로그 파일을 읽어서 ES로 전송하기
이번에는 ES의 로그 파일을 읽어서 (input) ES로 전송하는 (output) 설정을 해보겠습니다.
// cat logstash-eslog.conf
input {
file {
path => "/Users/hwanseok/lucky-developer/study/es/standalone/elasticsearch-7.15.0/logs/elasticsearch_server.json"
start_position => "beginning"
codec => "json"
}
}
output {
elasticsearch {
hosts => ["http://localhost:9200"]
index => "logstash-es-%{+YYYY.MM.dd}"
}
}
./bin/logstash -f config/logstash-eslog.conf
Kibana에서 ES로 전송된 로그 확인하기
kibana 디렉토리로 이동해서 kibana를 실행합니다.
docker-compose -f docker-compose-kibana.yml up
아래 링크에 접속합니다.
http://127.0.0.1:5601/app/home#/
왼쪽 메뉴의 Anaytics > Discover를 선택합니다.

logstash-es로 수집되는 데이터에 대해서 인덱스를 생성합니다. json 포멧으로 수집되고 있기 때문에 timestamp 필드만 지정해주면 됩니다.


다시 메뉴 > Anaytics > Discover를 선택해서 로그를 확인합니다.

728x90
'DEV > ElasticSearch & Lucen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lasticSearch Tutorial | 05. Fileabeat 연결하기 (0) | 2023.10.30 |
---|---|
ElasticSearch Tutorial | 03. Kibana 연결하기 (0) | 2023.10.29 |
ElasticSearch Tutorial | 02. Cluster 구성해보기 (0) | 2023.10.29 |
ElasticSearch Tutorial | 01. 무작정 시작하기 (1) | 2023.10.28 |